시사

2025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확대: 변화된 규제에 맞춰 토지 거래 전략 세우기

smartime 2025. 3. 2. 15:26
320x100
반응형

 토지거래허가구역 조정 현황 (2025년 기준) - 목차 

  1. 토지거래허가구역의 개념 및 목적
     1.1.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정의
     1.2. 지정 목적 및 필요성
  2. 최근 조정 내용 및 지역별 변화
     2.1. 서울시 조정 사례
     2.2. 지방(군위군 등) 조정 사례
  3. 토지거래허가 절차 및 기준
     3.1. 허가 기준
     3.2. 허가 절차
  4. 유의사항 및 제한사항
     4.1. 실거주 및 목적 이용 의무
     4.2. 자금 조달 계획서 제출
     4.3. 허가 회피 행위 금지
  5. 향후 전망
     5.1. 규제 완화 또는 강화 가능성
     5.2. 개발지역 및 재건축지 주의점
  6. 참고자료
     6.1. 관련 기관 및 문서 출처 안내

 

토지거래허가구역 조정 현황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

 

 

1. 토지거래허가구역의 개념 및 목적

  • 개념
    • 토지거래허가구역은 투기적인 토지 거래를 억제하고, 토지 이용 계획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국토교통부 장관 또는 시·도지사가 지정하는 구역입니다.
    • 이 구역 내에서는 일정 면적 이상의 토지 거래 시 관할 시장·군수·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.
  • 목적
    • 투기적 토지 거래 방지
    • 지속적인 토지 가격 안정
    • 계획적인 토지 이용 도모

 

2.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조정 주요 내용

  • 서울시
    • 2024년 2월 13일부터 서울시가 강남구 삼성·청담·대치동, 송파구 잠실동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일부 해제했습니다.
    • 다만, 재건축 추진 기대감이 높은 은마아파트 등 일부 지역은 투기 과열 가능성을 고려하여 규제를 유지했습니다.
    • 서울시는 광범위한 허가구역 지정을 줄이고, 실거주 목적이 아닌 거래를 선별적으로 규제하는 '핀셋 지정'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.
    • 신속통합기획 재개발, 재건축지구에 대해 허가구역을 확대 적용하고 있으며 잠실 장미아파트, 신반포2차, 서초동 진흥아파트, 수궁동 우신빌라 등이 신규 지정되어 있습니다.
  • 기타 지역
    • 2024년 초, 군위군 기존 신공항 관련지역 일부를 제외하고 70% 이상 지역에서 해제되었습니다.
    • 2025년 9월 7일까지 신공항 관련으로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은 농지 500㎡, 임야 1000㎡ 초과 토지 거래시 각 군청의 허가가 있어야 합니다.

 

3. 토지거래허가 시 허가 기준 및 절차

  • 허가 기준
    • 토지 이용 계획의 적합성
    • 실수요 여부
    • 투기 목적 여부
  • 허가 절차
    • 토지거래계약 허가 신청
    • 허가 여부 결정
    • 계약 체결
    • 잔금 완납 및 소유권 이전

 

4. 토지거래허가구역 관련 유의사항

  • 실거주 의무
    • 허가받은 토지는 일정 기간 동안 허가받은 목적대로 이용해야 합니다.
    • 실거주 의무 위반 시 이행강제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
  • 자금 조달 계획
    • 허가 신청 시 자금 조달 계획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
    • 불법 증여 등 이상 거래 여부를 철저히 검토합니다.
  • 허가 회피 행위 금지
    • 허가를 회피하기 위한 계약일 허위 작성 등은 불법입니다.
    • 허가 회피 행위 적발 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5. 향후 전망

  • 정부와 지자체는 부동산 시장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추가적인 규제 완화 또는 강화를 검토할 예정입니다.
  • 특히, 재건축 추진 단지나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은 시장 과열 가능성이 높은 만큼,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.

 

6. 참고자료

  • 국토교통부 부동산대책 정보사이트 정책풀이집
  • 강남구청 공시송달 공고
  •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조정 브리핑
320x100
반응형
SMALL